본문 바로가기

Java/Java Beginnig

[Java Beginning] Java의 Switch 문 (다중 조건 분기)

728x90
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Java 프로그래밍에서 다중 조건 분기를 처리하는 `switch` 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switch` 문 개요

`switch` 문은 프로그램에서 여러 조건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해야 할 때 사용됩니다. `switch` 문은 변수의 값을 평가하여 해당하는 `case` 레이블과 일치하는 코드 블록을 실행합니다.

 

2. `switch` 문의 구조

switch (변수) {
    case 값1:
        // 값1에 해당하는 코드 실행
        break;
    case 값2:
        // 값2에 해당하는 코드 실행
        break;
    // ...
    default:
        // 모든 case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실행
        break;
}


- `변수`는 `switch` 문에서 평가할 변수입니다. 이 변수는 반드시 정수형

   (`byte`, `short`, `int`, `long`, `char`) 이어야 합니다.
- 각 `case` 레이블은 변수의 값과 비교됩니다. 일치하는 `case` 레이블의 코드 블록이 실행되고, 

  `break` 문을 만나면 `switch` 문을 빠져나갑니다.
- `default` 레이블은 모든 `case` 레이블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실행됩니다.

 

3. `switch` 문 예제

아래 코드에서는 명령행 인수로 받은 값을 `inputData` 변수에 저장한 후, `switch` 문을 사용하여 해당 값에

따라 다른 메시지를 출력합니다. 만약 `inputData`의 값이 어떤 `case` 레이블과도 일치하지 않는다면 `default` 레이블의 코드 블록이 실행됩니다.

int inputData = Integer.parseInt(args[0]);

switch (inputData) {
    case 1:
        System.out.println("입력하신 값은 1입니다.");
        break;
    case 2:
        System.out.println("입력하신 값은 2입니다.");
        break;
    // ...
    default:
        System.out.println("case 문을 다 통과");
        System.out.println("default가 수행 됨...입력하신 수는 " + inputData + "입니다.");
        break;
}


4. `break` 문의 역할

`break` 문을 사용하여 `switch` 문을 빠져나갈 수 있습니다. `break` 문을 사용하지 않으면 일치하는 `case`

레이블 이후의 모든 코드 블록이 실행됩니다. `break` 문을 사용하여 각 `case` 레이블 이후에 `switch` 문을

빠져나가도록 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