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 Setter Injection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사용되는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의 한 형태. 의존성 주입은 클래스 간의 결합도를 낮추고 유연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해주는 디자인 패턴이다.
Setter Injection에서는 의존성을 주입할 때 생성자가 아니라 setter 메서드를 통해 주입한다. 즉, 의존성을 주입받는 클래스에 대한 setter 메서드가 정의되어 있어야 한다. 이 setter 메서드를 통해 외부에서 필요한 의존성을 주입함으로써 해당 클래스는 외부의 변경에 덜 민감하고 재사용성이 높아진다.
Setter Injection의 장점 : 유연성(Flexibility), 재사용성(Reusability), 테스트(Testability) 등
Setter Injection의 단점 : 주입할 의존성이 많아질 경우에 setter 메서드의 수가 증가하여 코드의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의존성이 빠진 상태로 객체가 생성될 수 있다.
132. Constructor Injection
객체의 의존성을 주입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객체를 생성할 때 생성자를 통해 필요한 의존성을 주입한다.
이 경우 객체가 생성될 때 필요한 의존성이 모두 주입되어야 하며, 객체의 불변성과 초기화 과정의 명확성을 강조한다.
Constructor Injection의 장점 : 객체의 의존성이 생성되는 시점에 고정되므로, 객체 생성 후 의존성을 변경할 수 없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코드의 안정성과 테스트 용이성이 증가한다.
133.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
전통적인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에서는 프로그램을 클래스와 객체로 구성하고, 관련 기능을 메서드 내에 캡슐화하여 모듈화한다. 그러나 OOP로 개발할 때 흩어져 있는 횡단 관심사(cross-cutting concern)들, 즉 여러 모듈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부분(예: 로깅, 보안, 트랜잭션 등)은 코드 내에 중복되거나 복잡한 형태로 분포되는 경우가 많다. AOP는 이러한 횡단 관심사를 주요 관심사(core concern)와 분리시켜 개발하는 방식이다.
주요 관심사는 프로그램의 핵심 비즈니스 로직이나 기능을 나타내고, 횡단 관심사는 주요 관심사와 관련없는 부가적인 로직을 의미한다. AOP에서는 이러한 횡단 관심사를 "어드바이스(advice)"라는 단위로 정의하고, 주요 관심사에 어드바이스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래밍을 한다. 이 어드바이스를 필요한 위치에서 적용함으로써 코드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공통적인 로직을 삽입할 수 있다. AOP는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키며, 특히 대규모 프로젝트나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유용하다.
AOP의 주요 구성 요소 :
- Pointcut : 어느 부분에 어드바이스를 적용할지를 정의하는 규칙. 메서드 호출, 객체 생성 등과 같은 지점을
선택할 수 있다.
- Advice : 횡단 관심사의 구체적인 로직을 담은 코드. 예를 들어, 메서드 호출 전에 로그를 남기거나, 예외가
발생할 때 특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 Weaving : 주요 관심사와 횡단 관심사를 합치는 과정. 이 과정에서 어드바이스가 선택된 지점에 삽입된다.
- Target Object : 주요 관심사를 담당하는 객체로서 어드바이스가 적용되는 대상이며, 어드바이스는 이 객체
주위에 삽입되어 횡단 관심사를 처리
- Join-Point :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 어드바이스가 삽입될 수 있는 특정 시점. 어드바이스는 Join Point에서 실
행될 수 있으며, 주로 특정 메서드의 호출, 객체의 생성 및 필드의 접근과 같은 프로그램 실행의
특정 지점을 나타낸다.
- Method Call Join Point : 메서드가 호출되는 지점. 특정 메서드가 호출되기 전, 후 또는 예외가 발생한 후 등
의 시점이 Join Point가 될 수 있다.
- Method Execution Join Point : 메서드 내부의 실행 지점. 메서드가 실행되는 도중에 어드바이스가 적용될 수
있는 지점
- Constructor Call Join Point : 객체의 생성자가 호출되는 지점
- Constructor Execution Join Point : 객체의 생성자 내부의 실행 지점
- Field Access Join Point : 객체의 필드에 접근하는 지점
- Exception Handling Join Point : 예외가 발생하는 지점
- Advisor(Aspect) : 어드바이스(Advice)와 포인트컷(Pointcut)을 함께 포함하고 있는 개념. Advisor는 AOP에
서 횡단 관심사(Cross-Cutting Concern)를 특정한 지점(Join Point)에서 어떻게 적용할지를
정의하는 역할. Advisor 패턴은 AOP의 기본 원칙을 실제로 적용하고 구현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개념
- Proxy : AOP에서 타겟 객체와 어드바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어드바이스의 로직을 삽입하거나 횡단 관심사
를 처리하는 역할. 프록시는 타겟 객체와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며, 클라이언트 코드는 프록시
를 통해 타겟 객체에 접근한다. 프록시는 주요 관심사와 횡단 관심사를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게 해주
며, 클라이언트 코드에는 AOP 관련 로직이 노출되지 않는다.
- Dynamic Proxy : 자바에서 제공하는 기능으로, 런타임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프록시 객체를 생성하는 방
식. 자바 리플렉션(Reflection)을 활용하여 프록시 객체를 동적으로 생성하므로, 미리 프록
시 클래스를 정의하지 않고도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프록시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이내믹
프록시는 주로 자바의 인터페이스 기반 프록시 생성에 사용되며, 프록시 객체가 인터페이
스의 메서드를 호출할 때 횡단 관심사를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간단히 말해, 프록시는 타
겟 객체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중재 역할을 하며 AOP를 구현하는 데 사용되며, 다이내믹 프
록시는 런타임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프록시 객체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기술이다.
AOP를 사용하면 횡단 관심사를 분리하여 개발자가 비즈니스 로직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Spring Framework와 같은 프레임워크에서는 AOP를 지원하여 로깅, 트랜잭션 관리, 보안 등과 같은 횡단 관심사를 더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도와준다.
134. Pattern
특정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는 데에 유용한 템플릿이나 방법론. 이러한 패턴들은 공통된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관례적인 접근 방식이나 솔루션을 제시한다. 프로그래밍 커뮤니티에서 많이 사용되며, 코드를 구조화하고 유지보수하기 쉽게 만들어준다.
예) 디자인 패턴(싱글톤, 팩토리, 옵저버 등), 알고리즘 패턴(버블 정렬, 퀵 정렬 등의 정렬 알고리즘, 이진 탐색 등의 탐색 알고리즘 등), 아키텍처 패턴(MVC(Model-View-Controller), MVVM(Model-View-ViewModel) 등), 코딩 패턴(반복문, 조건문, 예외 처리 등), 안티 패턴 등
135. Component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재사용 가능한 모듈 또는 요소를 의미. 소프트웨어 개발과 유지보수를 효율적으로 진행하며,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여준다. 특정 기능이나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조각이며,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다양한 부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컴포넌트의 특징 : 재사용성, 모듈성, 인터페이스, 변경 용이성 등
프로그래밍 언어나 환경에 따라 컴포넌트의 구현 방식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클래스와 객체가 컴포넌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웹 개발에서는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컴포넌트로 구분되는 경우가 많다. 컴포넌트 기반 아키텍처(Component-Based Architecture)는 이러한 컴포넌트의 개념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고 구축하는 방법론을 말한다. 이 아키텍처에서는 작은 단위의 컴포넌트들을 조합하여 전체 시스템을 구성하며, 재사용성과 모듈성을 강조한다.
136. CBD(Component-Based Development)
컴포넌트 기반 개발. 이는 소프트웨어를 구축하는 접근 방식 중 하나로, 소프트웨어를 재사용 가능한 독립적인 컴포넌트들의 조합으로 개발하는 방법론을 말한다.
CBD의 특징 : 재사용성, 모듈성 등
CBD의 핵심 개념 :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의존성 관리, 컴포넌트 라이프사이클 등
CBD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단순화하고 효율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대규모 프로젝트나 복잡한 시스템의 경우, 컴포넌트 기반 개발은 유지보수성과 재사용성을 높여 개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는 데 도움이 된다.
137. TDD(Test-Driven Development)
테스트 주도 개발.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중의 하나로, 개발 과정에서 테스트 케이스를 먼저 작성하고, 이를 통과하는 코드를 작성하는 접근 방식이다. TDD는 소프트웨어의 품질 향상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데 목적을 둔 개발 방법론으로, 다음과 같은 세 단계로 진행된다.
1) 테스트 작성(Write a Test) : 개발자는 아직 구현되지 않은 기능이나 코드 조각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한다. 이 테스트 케이스는 해당 기능이나 코드 조각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2) 실패하는 테스트 실행(Run the Test and Fail) : 작성한 테스트 케이스를 실행하여 해당 테스트가 실패하는 것을 확인한다. 이는 아직 작성되지 않은 기능이나 코드 조각이므로 당연히 실패할 것이다.
3) 코드 작성(Write Code to Pass the Test) : 실패한 테스트 케이스를 통과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코드를 작성한다. 목표는 테스트를 성공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장점 : 더 나은 코드 품질, 요구 사항 충족, 리팩토링 용이성 등
TDD는 개발 프로세스에서 테스트를 중요한 부분으로 포함시켜 개발자가 자신의 코드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가지도록 도와준다.
138. Annotation
Java 프로그래밍 언어의 메타데이터를 나타내는 형태로 클래스, 메서드, 필드 등의 코드 요소에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코드에 주석(Comment)처럼 붙이며, 런타임이나 컴파일 타임에 이 정보를 읽을 수 있다. Annotation을 사용하면 프로그래머가 코드의 의미나 행동을 추가적으로 설명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Java 언어의 표준 라이브러리와 여러 프레임워크에서 Annotation을 활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한다.
@Override : 메서드가 부모 클래스나 인터페이스의 메서드를 오버라이딩함을 표시
@Deprecated : 해당 요소(클래스, 메서드 등)가 더 이상 권장되지 않음
@SuppressWarnings : 컴파일러의 경고를 무시하도록 지시
@FunctionalInterface : 함수형 인터페이스임을 나타냄. Java 8부터 람다식과 관련하여 사용됨.
@Test (JUnit 프레임워크) : 테스트 메서드임을 나타내어 테스트 프레임워크가 해당 메서드를 테스트로 실행
위의 예시들은 Java 내장 어노테이션 중 일부이다. 또한 사용자 정의 어노테이션을 만들어서 자신만의 메타데이터를 추가하거나 특정 프레임워크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어노테이션을 이용하면 코드에 의미 있는 메타정보를 첨부하여 코드를 더욱 유연하고 가독성 있게 만들 수 있다.
139.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데이터 교환을 위한 경량의 형식. 주로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송하기 위해 사용.
JSON은 사람과 기계 모두 이해하기 쉽도록 설계되었으며, 텍스트 기반의 포맷으로 데이터를 표현. 주로 웹 응용 프로그램과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되지만,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JSON의 특징 : 가독성, 간결성, 문자열/숫자/불리언/배열/객체, 키-값 쌍, 플랫폼 독립성, 확장 가능성 등
JSON 형식은 이름-값 쌍(name-value pairs)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쌍들은 중괄호({})로 둘러싸여 있다. 각 이름-값 쌍은 쉼표(,)로 구분된다. 이름(name)은 문자열이며, 값(value)은 숫자, 문자열, 불리언, 배열, 객체, 또는 null 등의 데이터 타입 중 하나일 수 있다.
{
"name": "John",
"age": 30,
"isStudent": false,
"grades": [85, 90, 78, 92],
"address": {
"street": "123 Main St",
"city": "Anytown",
"postalCode": "12345"
},
"isEmployed": true,
"spouse": null
}
이 JSON 예제에서는 다양한 데이터 유형이 사용되었다.
- "name"과 "address"는 문자열(string)이다.
- "age"는 숫자(number)이다.
- "isStudent"와 "isEmployed"는 불리언(boolean) 값이다.
- "grades"는 숫자로 구성된 배열(array)이다.
- "address"는 또 다른 중첩된 JSON 객체(object)이다.
- "spouse"는 null 값이다.
JSON은 데이터 교환 형식으로 널리 사용되기 때문에,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JSON을 파싱하고 생성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가 제공된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은 서로 다른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쉽게 교환할 수 있다. JSON은 간단하면서도 가독성이 좋고, 사람과 기계 모두 이해하기 쉬운 특징을 가지고 있어 많은 개발자들이 선호하는 데이터 형식 중 하나이다.
140. Parsing Display
Parsing 은 데이터를 읽어들여서 해당 데이터의 구조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프로그래밍 언어의 소스 코드나 JSON, XML 같은 데이터 형식을 읽어서 그 안에 포함된 구조와 정보를 해석하는 작업이다.
텍스트 파싱(Parsing)은 텍스트 데이터를 의미 있는 구조로 해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이 외부 데이터를 읽고 그 데이터를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텍스트 파싱은 데이터를 해석하고 이를 프로그래밍 언어나 다른 구조화된 형식으로 변환하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파싱 디스플레이는 이러한 파싱 작업을 수행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거나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웹 브라우저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부터, 프로그래밍 개발 환경에서 코드를 구문 강조(syntax highlighting)하여 보여주는 것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파싱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게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거나 편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주로 텍스트 에디터, 프로그래밍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 등에서 활용된다. 이러한 도구들은 사용자가 코드를 작성하고 프로그램을 디버그할 때 필요한 정보를 명확하게 표시하여 개발 작업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