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_IT/개발 용어 사전

[ 81 ~ 90 ] NESTED, Third Part Library, JDBC, Client, Server, IP, Protocol, Port, IIS, Servlet

728x90
반응형

81. NESTED

프로그래밍에서 "nested"는 하나의 구조나 개념이 다른 구조나 개념 내에 중첩된 경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중첩된 루프는 하나의 루프가 다른 루프 안에 포함된 경우를 말한다.

82. Third Part Library

제조사와 사용자 외의 외부 생산자가 만든 Library

공식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나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과는 독립적으로 제작된 라이브러리

이러한 라이브러리들은 해당 언어나 환경에서 제공하지 않는 특정 기능을 확장하거나 추가하기 위해 사용되며,  프로그래머들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도구이다.


예) 라이브러리 (Library), 모듈 (Module), 의존성 (Dependency) 관리,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오픈 소스 (Open Source), 프레임워크 (Framework), 버전 관리 (Version Control) 등

 

83. JDBC(Java DataBase Connectivity)

자바 언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고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자바 API

JDBC를 사용하면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으며, SQL 문을 실행하여 데이터를 검색, 삽입, 수정 및 삭제할 수 있다. JDBC는 자바 언어와 데이터베이스 간의 표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쉽게 만들어준다.

 

JDBC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본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JDBC 드라이버 로드

   Class.forName("cohttp://m.mysql.jdbc.Driver");

2) 데이터베이스 연결

`DriverManager.getConnection()` 메서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한다.

   Connection connection = DriverManager.getConnection("jdbc:mysql://localhost:3306/mydatabase", "username", "password");

 

3) SQL 문 실행

`Statement` 객체를 생성하고 SQL 문을 실행한다.

   Statement statement = connection.createStatement();
   ResultSet resultSet = statement.executeQuery("SELECT * FROM mytable");

4) 결과 처리

`ResultSet` 객체를 사용하여 쿼리 결과를 처리한다.

   while (resultSet.next()) {
       String name = resultSet.getString("name");
       int age = resultSet.getInt("age");
       // 결과 처리 로직
   }

5) 연결 종료

데이터베이스 작업이 끝나면 `Connection`, `Statement`, `ResultSet` 등의 리소스를 해제하고 연결을 종료한다.

   resultSet.close();
   statement.close();
   connection.close();

 

84. Client

Client / Server 구성에서 사용자 측, 사용자/컴퓨터/프로그램 등이 될 수 있다. 서버에게 파일의 내용을 요청(Request)하고 응답(Response) 된 내용을 파싱해서 display 한다.

서버에게 데이터나 서비스를 요청하고 서버의 응답을 받아 사용자에게 제공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상호 작용하는 디바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 웹 브라우저, 이메일 클라이언트, 게임 애플리케이션 등은 모두 클라이언트의 예시이다.

 

85. Server

Client에게 서비스나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Response)

네트워크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나 프로그램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응답하고 데이터를 저장하며,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기능이나 정보를 제공한다.

파일 서버,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이메일 서버 등으로 나뉜다.

 

86. IP(Internet Protocol)

인터넷에서 해당 컴퓨터의 주소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규약 또는 프로토콜

인터넷과 로컬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을 라우팅하고 전달하는 역할

네트워크에서 컴퓨터나 기기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기초적인 프로토콜 중 하나

IPv4(32비트 주소)와 IPv6(128비트 주소)의 두 가지 주요 IP 주소 형식이 있다. IPv4 주소는 일반적으로 "xxx.xxx.xxx.xxx" 형식으로 표현되며, 예를 들면 "192.168.0.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87. Protocol

컴퓨터끼리 정보를 주고 받을 때의 통신방법에 대한 약속

컴퓨터 네트워크와 통신에서 컴퓨터나 장치 간에 정보를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규칙 또는 약속

데이터를 어떻게 포맷하고, 어떤 방식으로 전송하며, 에러를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한 규정을 포함

예)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FTP (File Transfer Protocol),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POP3 (Post Office Protocol 3), IMAP (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DNS (Domain Name System),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WebSocket 등

 

88. Port

논리적인 접속 장소.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 상의 특정 서버 프로그램을 지정하는 방법. data가 지나다니는 통로.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프로세스 간 통신을 위한 엔드포인트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번호로 컴퓨터의 특정 프로그램이나 서비스와 통신하는 데 사용된다. 포트는 TCP 및 UDP와 같은 전송 계층 프로토콜에서 주로 사용되며, 네트워크 패킷이 어떤 프로세스로 전달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낸다. 

 

- Well-known Ports : 0에서 1023까지의 포트 범위로, 특정 프로토콜에 할당된 고정된 포트 번호. 예를 들어, HTTP 웹 서비스는 80번 포트를 사용하며, HTTPS는 443번 포트를 사용한다.

- 포트 포워딩 (Port Forwarding) : 라우터나 방화벽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서 내부 네트워크로 접근할 때 사용. 특정 외부 포트로 들어오는 요청을 내부 네트워크의 특정 포트로 전달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89. IIS(Internet Information Services) 서버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를 사용하는 서버들을 위한 인터넷 기반 서비스들의 모임(80포트 사용)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서버 운영 체제에서 동작하는 웹 서버 소프트웨어

HTTP, HTTPS, FTP, FTPS, SMTP와 같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동적 웹 페이지, 웹 응용 프로그램, 파일 서버 및 인터넷 서비스를 호스팅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90. Servlet

서버에서 웹페이지 등을 동적으로 생성하거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java로 작성된 프로그램. 서버 측 기능을 확장한 것 (servlet 실행 환경 -> servlet 컨테이너)

자바 플랫폼에서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자바 클래스

주로 웹 서버에서 실행되며,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동적인 웹 컨텐츠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Servlet은 Java EE(Enterprise Edition) 스펙의 일부로서, Java Servlet API를 구현한 웹 컨테이너에서 실행된다. HttpServlet 클래스를 상속받아서 구현한다.

 

ServletRequest는 클라이언트의 요청 정보를 나타내는 객체이며, HttpServletResponse는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할 응답을 생성하는 객체이다. Servlet은 이 두 객체를 사용하여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을 생성한다.

 

Servlet은 초기화(Initialization), 서비스(Service), 소멸(Destruction)의 세 단계로 나뉘어진 생명주기를 가지고 있다. Servlet 컨테이너는 Servlet 객체를 초기화하고 서비스 메서드를 호출하며, Servlet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때 소멸시킨다.

 

Servlet 매핑은 URL과 특정 Servlet 클래스 간의 대응 관계를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매핑을 통해 어떤 URL이 어떤 Servlet에 의해 처리될지 결정된다.

 

Filter는 Servlet의 실행 전후에 요청 및 응답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수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러 개의 Filter를 사용하여 요청과 응답을 처리하는 작업을 체인 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