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nkins를 사용하여 Git 저장소에서 소스 코드를 가져와 Maven을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빌드하는 파이프라인을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1.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생성
Jenkins 대시보드에 로그인한 후, "새로운 아이템 추가"를 클릭하고 프로젝트 이름을 설정한 후 "Pipeline"을 선택하고 "OK"를 클릭합니다.
2. 파이프라인 스크립트 작성
파이프라인 섹션에서 `Definition`을 "Pipeline script"로 선택하고, 다음과 같은 파이프라인 스크립트를 작성합니다.
pipeline {
agent any
tools {
jdk 'openjdk11'
git 'Default'
maven 'maven3.9.5'
}
stages {
stage('github') {
steps {
git url: 'Git Repository URL'
}
}
stage('Maven Build') {
steps {
dir('프로젝트 디렉토리') { // pom.xml이 위치한 디렉토리로 이동
sh 'mvn clean compile package -DskipTests=true' // maven 빌드 시 Junit Test Skip
}
}
}
}
}
- `agent any`: 어떤 에이전트에서라도 파이프라인을 실행합니다.
- `tools`: JDK, Git, Maven과 같은 도구를 설정합니다.
- `stages`: 파이프라인 스테이지를 정의합니다. `github` 스테이지에서 Git 저장소에서 소스 코드를 가져오고, `Maven Build` 스테이지에서 Maven 빌드를 수행합니다.
3. 파이프라인 실행
스크립트 작성이 완료되면 "Use Groovy Sandbox"를 체크하고 "저장"을 클릭합니다. 그런 다음 "지금 빌드"를 클릭하여 파이프라인을 실행합니다.
4. 결과 확인
파이프라인이 실행되면 "Stage View"에서 각 스테이지의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Console Output"에서 자세한 실행 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로써 Jenkins를 사용하여 Git-Maven 파이프라인을 설정하고 실행하는 방법을 익혔습니다. 이를 통해 소스 코드 관리와 빌드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study_IT >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cloud - VPC 생성 및 NACL 설정하기 (0) | 2023.11.23 |
---|---|
Jenkins를 활용한 Git-Maven-Tomcat 파이프라인 구축 (1) | 2023.10.20 |
Jenkins 파이프라인 사용하기 (0) | 2023.10.20 |
Jenkins -Git-Maven-Tomcat-SSH 서버를 활용한 WAR 배포 (0) | 2023.10.19 |
Docker 컨테이너에 SSH 서버 설치하기 (0) | 2023.10.19 |